
최신 기사
IMF 총재 "미국 경제 확실하게 '연착륙'으로 가고 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2일(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결단력 덕분에 금리 인상에 따른 일부 고통에도 불구, 미국 경제가 "확실하게" 연착륙으로 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 작년 LNG 최대 수출국으로 처음 올라서...카타르·호주 제쳐
미국이 지난해 액화천연가스(LNG) 수출국 순위에서 처음으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 반도체장비 對中 수출 일부 통제...中 "美, 타국 협박"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기업 ASML이 1일(현지시간) 자국 정부가 자사의 일부 반도체 제조 장비의 중국 수출을 위한 면허를 부분적으로 취소했다고 밝혔다. 줄어드는 소비자 상품 선택권...팬데믹·온라인 활성화에 더 위축
기업들은 코로나19로 공급망의 혼란이 오자 제품 종류를 축소하면서 수요가 많은 제품에 더 집중하는 쪽으로 움직였다. "물가 잡히고 고용 튼튼" 올해 美경제 낙관론 확산...대선은 변수
당초 예상과 달리 지난해 미국 경제가 침체를 피한 가운데, 올해 미국 경제에 대해서는 낙관론이 힘을 얻고 있다고 CNN 방송이 1일(월) 보도했다. '中부품 배터리' 배제하자 美보조금 받는 전기차 모델 43→19개
올해부터 미국 정부가 중국산 배터리 부품을 사용하는 전기차를 보조금 대상에서 완전히 배제하면서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 차종이 대폭 줄었다. 새해 세계경제 위험은..."美 금리에 中 성장률, 엘니뇨 우려도"
지난해 미국발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세계 경제가 출렁인 가운데, 새해에도 미국의 금리정책, 중국의 저성장, 엘니뇨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등 위험 요인이 산재해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美 원유생산 역대 최고...친환경 지지 필요한 바이든은 모르쇠
미국의 원유 생산량이 바이든 행정부에서 크게 증가하면서 유가 안정에 기여했지만, 화석연료 감축을 공약한 바이든 대통령은 굳이 이 사실을 내세우지 않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31일(일) 보도했다. 머스크, X에 '한반도의 밤' 위성사진 공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31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 남한과 북한의 위성 사진을 게시했다. 맥킨지, 보험사에 1천억원 합의금...마약성 진통제 컨설팅 책임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의 판매를 자문한 것과 관련해 건강보험사와 기업체 복리후생 기금에 합의금 7천800만달러(약 1천억원)를 지급하기로 했다고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세계 500대 부자 자산 올해 1조5천억달러 증가...머스크 증가액 1위
올해 한 해 세계 500대 부자들의 순자산이 총 1조5천억달러(약 1천947조7천500억원)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9일(금) 발표했다. 내년 금리인하, 부채 허덕이는 美 기업들에 '생명줄' 가능성
이르면 내년 3월로 예상되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는 과도한 부채에 허덕이는 기업들에 '생명줄'과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목) 보도했다. '나사 빠진' 737맥스 여객기...보잉, 전세계 항공사에 검사 요청
보잉 737 맥스 여객기의 방향타 시스템에서 나사가 빠지거나 느슨하게 결합된 사례가 잇따라 발견돼 보잉이 전 세계 항공사에 검사를 요청했다. 후티 반군의 홍해 공격 이후 컨테이너선 절반 우회 택해
홍해와 수에즈 운하를 정기적으로 통과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절반가량이 예멘 후티 반군의 공격 위협 때문에 현재 이 항로를 피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최신 자료를 인용, 28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美스타트업 버블, 유동성 축소로 꺼져...위워크,버드 등 파산
위워크·버드 등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사업을 키웠던 기업들이 줄줄이 무너지는 등 올해는 미국 스타트업 업계의 버블이 꺼진 시기였다고 미국 CNBC방송이 28일(목) 평가했다.